정보통신 기술사의 개요
정보통신기술사는 유선 및 무선을 포함하는 전기 전자 통신 분야에서 전문적인 기술, 오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통신업무의 합리화와 전문화를 위한 연구 개발 업무에 종사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격 제도로 제정하였다. 

정보통신 기술사는 전기 정보통신에 과한 고도의 전무지식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정보통신망에 관한 계획 및 운용업무 담당하며 정보의 검색 및 제공 등 정보통신에 관계되는 정보전송 방식, 정보기기, 정보통신 설비에 관한 연구, 설계, 분석, 시험, 운영, 시공, 평가 또는 이에 관한 기술 자문과 감리를 수행한다.


정보통신 기술사 응시자격
다음의 사항에 해당한다.

  • 기사 + 4년의 실무경력

  • 산업기사 + 6년의 실무 경력

  • 기능사 + 8년의 실무 경력

  • 순수 실무 경력 11년

  • 관련 전공 대졸 + 7년 실무경력, 비관련 전공 대졸 + 9년 실무 경력

  • 3년 전문대졸 + 8년 실무 경력, 비관련 전공 3년 전문대졸 + 9.5년 실무 경력

  • 2년 전문대졸 + 9년 실무 경력, 비관련 전공 2년 전문대졸 + 10년 실무 경력



연도별 응시자 수 
정보통신 기술사 응시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는 약 700명 정도가 시험을 준비한다. 응시생 대비 합격률은 2% 정도이다. 



  종목별 검정현황
종목명연도필기실기
응시합격합격률(%)응시합격합격률(%)
정보통신기술사2011681213.1%532954.7%
정보통신기술사2010672375.5%552850.9%
정보통신기술사2009622233.7%391846.2%
정보통신기술사2008539132.4%261453.8%
정보통신기술사200752781.5%452351.1%
정보통신기술사20064745511.6%853642.4%
정보통신기술사200543392.1%14964.3%
정보통신기술사2004283186.4%282175%
정보통신기술사2003301144.7%211152.4%
정보통신기술사200224093.8%161168.8%
정보통신기술사2001247156.1%281760.7%
정보통신기술사1992.20001,59217611.1%32516751.4%
소   계6,6113986%73538452.2%


정보통신 기술사의 진로 및 전망
통신기기 제조업체, 정보통신설비 제작업체 및 공공기관, 정보통신설비를 공사 설치하는 기업체 및 공공기관, 전기 통신공사, 광통신회사, 데이터 통신공사, 연구소 등에 진출하여 정보통신망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정보통신기기의 개발을 담당할 수 있다. 또는 자신이 직접 회사를 경영하거나 시스템컨설팅 업체에서 컨설턴트로 활동하기도 한다.

통신기기 산업은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이 짧고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는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다른 산업에 대한 기술파급효과가 크며 동시에 기술 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산업이다. 오늘날 같은 정보화사회에서 통신기기를 비롯한 정보통신 산업은 중요한 국가의 기간산업으로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 만큼 정보화사회에서 정보 시스템을 계획 설계하고, 기술적 타당성을 최종적으로 결정내리는 전문가의 역할은 그 중요성을 더해갈 전망이다. 또한 정보시스템의 개발 못지 않게 운영업무의 감리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정보 시스템 감리 업무에 이론과 경험을 겸비한 정보 통신 기술사의 수요는 꾸준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정보통신기술사 실시기관 : 한국 방송통신 전파진흥원 ( http://www.cq.or.kr)
자격 검정본부 : KCA (www.cq.or.kr)


개요
정보통신기술사 취득을 위해 많은 분들이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매년 약 700명이 시험에 응시를 하고 있으며 합격률은 2~3% 대입니다.  시험은 정보통신기술사로써의 소양과 지식을 검증합니다. 시험을 합격한 많은 분들의 후기와 공부한 방법을 토대로 정리하였습니다.  

다른 기술시험과 달리 출제범위가 없다는 점이 틀리며, 공부는 깊고 넓게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정보통신 기술사 취득 전략

  • 목표 설정 : 합격
  • 전략 수립 : 250 문제를 이해하고 암기한다
  • 실행 작전 : 기본을 정리하고 기출문제흘 해설한 후에 예상 문제를 예측한다
  • 공부 요령 : 전체를 이해하고 부문을 공부하여, 부문을 공부하여 전체를 이해한다.
  • 공부 방법 : 강의 수강, 강의 내용 녹음, 이해가 안된 부분만 반복 청취한다


답안작성 요령
답안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기준을 중심으로 정리한다. 
  • 주요 키워드 설정
    문제를 받은 후 키워드에 밑줄을 치고, 키워드를 기반으로 목차를 잡는다. 목차를 기준으로 대략적인 분략을 예측한다.

  • 과목별로 분류
    문제를 받은 후 문제의 과목을 설정하라

  • 문제별 분량 작성은 동일하게
    1교시는 10문제에 10페이지, 2~4 교시는 4문제에 13페이지를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

  • 차별화된 답안지 작성
    개론은 출제 문제의 출현 배경, 개념, 정의 , 작성 방안을 제시한다.
    결론은 발전전망, 신기술 발전, 향후 전망 등 자신의 의견을 제시한다.

  • 채점자 위주의 답안지 작성
    그림, 표 등을 활용한다.


기본 교재 선택 및 탐독
지식은 기본이론이 근본이므로 기본도서를 완전 숙지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기본 도서를 덮어놓고 목차별 중요 내용을 스스로 완전하게 옮겨 쓸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7회 이상은 정독해야 한다. 


단계별 시험 준비

  • 6개월전
    기출문제를 기준으로 출제 경향을 파악
    기술사 시험 범위는 매우 넓으므로 기본직식부터 시사성 있는 문제까지 출제되므로 국내외 정기 간행물을 꾸준히 정기 구독해야 합니다.
    - 한국통신 학회 정보통신지
    - 한국통신 연구원 : 정보 통신 정책
    - 한국 전자 공학회 : 텔레콤 지
    - 전자신문
    - www.kisdi.re.kr
    - www.tta.or.kr 
    - www.itfind.re.kr

  • 2개월 전까지
    예상 문제 선정 및 작성 시작
    응시 첫회는150문제 정도를 시작으로 250문제 정도를 완전 숙지하여 마지막 2~3개월에 전력투구

  • 1개월 전까지
    모의 시험 작성 연습, 글씨 연습 및 암기를 꾸준히 한다. 


  • 시험 일주일전
    가능하다면 휴가를 얻어 총정리를 한다.




총평 (이순화 기술사)
한 단계 심화되거나 실무 형태의 문제가 많았으며, 통신 이론과 무선 공학의 비중이 줄어들고 방송공학과 uCity 중심의 실무 토픽 비중이 늘어났습니다.

99회 기출문제에서 다음의 사항을 되세길 수 있다.

  • 토픽 및 주제에 대한 범위를 폭넓게 공부하라
    출제 위원은 3-4년마다 재선정되지만 특정 분야에 집중되는 경향될 수 있습니다.



  • 최근 5년간의 기출 문제는 100% 소화하라
    출제 위원은 최근 5년간의 기출문제를 참고하고, 최근 이슈화되는 토픽을 추가하는 것이 관례입니다. 99회 시험은 1교시 (7/13), 2교시 (2/6), 3교시 (4/6), 4교시 (2/6) 수준으로 거의 동일한 문제가 출제 되었습니다. 



  • 최근 기술의 이슈나 동향에 맞는 문제들이 출제된다
    2013년은 DTV 전환 정책이 시행되는 첫 해인 만큼 지상파 채널 재배치 및 UHDTV등의 방송 분야 이슈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평소 IT 관련 언론 기사를 수시 모니터링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고독한 수험생활이 아닌 실무경험과 노하우를 스타디 그룹을 통해 공유해야 합니다. 



참고자료

http://www.gisulsa.org/gisulsa_top_php/board.php?board=specials&command=body&no=23



+ Recent posts